<a href에 대한 내용은 국화(포켓몬스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菊花; 국화과의 식물
국화 | ||
Chrysanthemum[1] | 이명 : 구화 | |
Asteraceae | ||
분류 | 식물계 | |
속씨식물문(Angiospermae) | ||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 ||
국화목(Asterales) | ||
국화과(Asteraceae) | ||
산국속(Dendranthema) | ||
국화 |
국화과의 모든 식물을 모두 포함한다. 菊花, Chrysanthemum. 국(菊)·구화라고도 한다.
국화는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며, 많은 원예 품종이 있다. 높이 1m 정도로 줄기 밑부분이 목질화하며,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진다. 꽃은 두상화로 줄기 끝에 피는데 가운데는 관상화, 주변부는 설상화이다. 설상화는 암술만 가진 단성화이고 관상화는 암·수술을 모두 가진 양성화이다.
다른 꽃들과는 달리 기온이 낮은 가을 때 피는 특성 때문에 우리나라와 중국의 선인들은 은둔하면서 절개를 지키는 군자의 상징으로 삼았으며, 사군자의 하나로 귀하게 여겨왔다.
꽃은 노란색·흰색·빨간색·보라색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고 크기나 모양도 품종에 따라 다르다. 꽃의 지름에 따라 18cm 이상인 것을 대륜, 9cm 이상인 것을 중륜, 그 이하인 것을 소륜이라 하며 꽃잎의 형태에 따라 품종을 분류하기도 한다.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역사가 오랜 꽃이며, 중국 원산이라고 하나, 그 조상은 현재 한국에서도 자생하는 감국이라는 설, 산국과 뇌향국화와의 교잡설, 감국과 산구절초와의 교잡설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최초로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중국 당나라(唐代) 이전으로 추정된다. 관상용 뿐 아니라 차나 탕으로도 끓여먹을 수 있다. 날이 추워 입이 텄을 때 국화차를 마시면 좋다고 한다. 화전을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중국에서 재배된 국화는 일본으로까지 건너가 재배되어 벚꽃과 함께 일본의 황실을 대표하는 꽃이기도 하다. 일본 황실의 문장에도 국화가 들어가며, 현 일본 경찰 및 구 일본군의 상징 역시 국화를 바탕으로 한다. 루스 베네딕트가 일본 문화를 분석하여 쓴 유명한 책의 제목도 <국화와 칼>일 정도. 그렇지만 한국 역시 오래 전부터 국화를 선비의 절개를 상징하는 사군자의 하나로 여겨 온 탓에 벚꽃보다 오히려 군국주의의 상징성이 더 강함에도 불구하고 벚꽃만큼의 거부감을 불러일으키지는 않는 듯.
조선시대에는 꽤 비싼 값에 팔렸던 모양인지, 정약용이 유배중 자식에게 보내는 편지중에는 국화꽃 한 이랑의 양만 팔아도 몇달치 식량을 살 수 있다고 말하는 구절이 있다.#
세계 각국에서 장례식 때 흰 국화를 바치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이 풍습은 4만년 전 구석기 시대 고인돌에서부터, 오천년 전 메소포타미아의 기록에서까지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은 개화기 이후에 서구의 그리스도교 문화가 들어옴에 따라 복식 등이 간소화되고, 영전에 꽃을 바치는 일이 생겼는데 거기에 어울리는 흰 꽃[2]이 국화밖에 없어 국화를 바쳤다고 한다.
1년 365일 각각의 탄생화 중에도 여러 종류의 국화가 있다. 그리고 그 중엔 10월 14일의 탄생화로 장례식에 쓰이는 흰 국화도 포함되어 있다.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가 유명하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 보다.
1.1. 관련 문서
2. 國花; 나라를 상징하는 꽃
모든 국가가 국화를 가지고 있는 건 아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화를 지정하는 나라가 늘어나고 있다.
다음은 국화의 목록.
- 과테말라 - 몬자 블랑카
- 그리스 - 월계수 가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 탄자니아 - 프로테아
- 노르웨이 - 퍼플헬더
- 네덜란드 - 튤립
- 뉴질랜드 -
은고사리양치식물로 현화식물이 아니기 때문에 꽃이 아니다. - 대만 - 매화
- 대한민국 - 무궁화. 다만 공식적으로 지정된 국화는 아니다. 다시 말해서, 명문화된 규정이 없으며 관습적으로 국화인 셈.
- 독일 - 수레국화
- 라오스 - 벼
- 러시아 - 캐모마일
- 레바논 - 레바논삼나무
- 루마니아 - 백장미
-
만주국 - 고량(高粱)만주국 황실의 꽃은 난(蘭)으로 지정됨. - 멕시코 - 달리아
- 모나코 - 카네이션
- 몽골 - 연꽃
- 베트남 - 붉은 연꽃
- 미국 - 장미. 1986년 11월 20일 당시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이 연방법을 통해 지정했다. 사람들이 미국은 주마다 상징하는 꽃이 달라서 국화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이 아니다. 미국의 국화는 엄연히 장미이다.
- 북마케도니아 - 양귀비
- 브라질 - 카틀레야
- 불가리아 - 장미
- 세르비아 - 흰 자두꽃
- 슬로베니아 - 카네이션
- 사우디아라비아 - 대추야자
- 스리랑카 - 연꽃
- 스위스 - 에델바이스
- 스페인 - 카네이션
- 시리아 - 아네모네
- 싱가포르 - 난[3]
- 아르메니아 - 아네모네
- 아르헨티나 - 엘 세이보
- 알바니아 - 검은/붉은 양귀비꽃
- 아일랜드 - 흰 토끼풀(클로버)
- 아프가니스탄 - 튤립
- 영국 - 일반적으로 장미를 국화처럼 취급하기도 하지만 연합왕국 차원에서 정해진 공식적인 국화는 없다. 다만 국화는 지역마다 다른데 영국 왕실을 상징하는 꽃이자 본토인 잉글랜드는 장미, 스코틀랜드는 엉겅퀴, 웨일스는 부추, 북아일랜드는 토끼풀이다.
- 예멘 - 커피나무
-
오스트리아 - 에델바이스[4] - 요르단 - 검은 붓꽃(아이리스)
- 이라크 - 붉은 장미
- 이란 - 튤립
- 이스라엘 - 시클라멘
- 이집트 - 이집트 수련(水蓮)
- 이탈리아 - 데이지, 시클라멘
- 인도네시아 - 재스민
- 인도 - 연꽃
- 일본 - 일반적으로 벚꽃이며, 위 1번 단락의 국화는 일본 황실의 상징이다. 다만 일본의 공식적인 국화는 없다. 재미있는 것은 보통 국가 문장을 넣는 여권 표지에는 일본 황실을 상징하는 꽃인 국화(1번 항목의 국화)를 넣으면서, 일본 경찰과 자위대의 휘장이나 계급장에는 벚꽃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일본 총리나 정부의 상징으로는 오동잎을 쓰고 있다.
- 중국 - 공식적인 국화는 없다. 보통 모란 또는 매화가 국화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청나라의 국화는 모란, 중화민국의 국화는 매화였다. 그리고 현재 중국의 대도시 중 하나인 뤄양의 시화(市花)가 모란이고 우한시의 시화가 매화이다.[5]
- 체코 - 보리수
- 칠레 - 코피후에
- 쿠바 - 마리포사
- 카메룬, 캄보디아 - 수련
- 캐나다 - 단풍잎
- 터키 - 튤립
- 튀니지 - 재스민
- 파키스탄 - 수선화
- 페루 - 칸투타
- 프랑스 - 흰붓꽃(아이리스)[6]
- 폴란드 - 팬지
- 포르투갈 - 라벤듈라
- 헝가리 - 튤립
- 홍콩 - 보히니아(Bauhinia blakeana)
3. 와쳐의 등장인물
한국화를 전문적으로 그린다. 그래서 이름이 "국화". 지나와 관계된 인물 중 한 명으로 지나가 돈세탁을 위해 미우의 돈 5백만원을 빌려줬다.
하지만 마지막 인터뷰에서 자신이 빌린 돈은 2천만원이라고 밝혀서 지나가 거짓말을 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지금 보는 일러스트의 설명처럼 페이커에서는 국화빵을 굽는 제빵사겸 빵셔틀이란 설정이다.
- [1] 한글로는 크리샌써멈.이라 표기한다. 영어 발음은 크리샌드멈.또는 크리샌디멈.
- [2] 안식을 의미한다.
- [3] Vanda Miss Joaquim이라는 품종.
- [4]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덕분에 착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에델바이스는 오스트리아의 국화가 아니다.
- [5] 한때 중국 내에서도 공식적인 국화를 정하자고 모란과 매화를 후보로 올려 국민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했었으나, 양쪽 모두 40%에 가까운 기록을 보여 어느 것으로 결정할지 어려운 상황. 다만 대만이 이미 매화를 국화로 지정했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모란이 약간 우세한 상황.
하나의 중국이라며? - [6] 일반적으로 백합으로 알려져 있으나, 프랑스의 국화는 과거 부르봉 왕조가 사용했던 문장에 들어있는 흰붓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