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right:10px;margin-left:30px"
이 문서는 비로그인 사용자의 편집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사유는 여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사이버 슬루스 시리즈 | ||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 | ☞ |
デジモンストーリー サイバースルゥース | ||
제작 | ||
유통[1] | ||
발매 | ||
플랫폼 | ||
장르 | ||
언어 | 일본어, 영어, 중국어(번체), 한국어[3] | |
등급 | CERO B | |
1. 소개
육성 RPG 게임 디지몬 스토리 시리즈의 5번째 작품.
기종은 닌텐도 DS로 발매된 전작들과 달리 PS Vita로 발매되었고, 등장 디지몬은 240체.
주요 타겟은 어른이 된 디지몬 팬.[4] 기존 디지몬 게임을 플레이해본 적이 없는 게임 팬들에게도 흥미를 끌 수 있도록 세계관과 비주얼을 큰 폭으로 리뉴얼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스토리가 장난이 아니다 인신매매도 나오고.[5] 타겟이 아예 성인층 팬들로 설정된 이유는 디지몬 월드 리디지타이즈의 성공 덕분이라고 한다. 다만 상태이상이나 공방상승 등의 게임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전작인 디지몬 어드벤처 PSP의 턴제 3D 배틀을 그대로 본따왔고 3D 모델링이나 연출방식 또한 비슷하다.
인간 캐릭터 디자인은 디지몬 월드 리디지타이즈의 인간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던 야스다 스즈히토가 맡았고, 이터의 디자인은 Oh!Great가 맡았다. 메인 캐릭터 외 몇몇 조연 캐릭터 디자인과 일러스트엔 미디어비전의 아트워크 팀도 참여했다. OST는 단간론파 시리즈로 유명한 타카다 마사후미가 담당했다.
2. 관련 정보
근미래 일본. 인터넷에 시각적, 감각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기술에 의해 전뇌공간 EDEN이 사람들 사이에서 또 하나의 일상 세계가 되어 있었다. 엄중한 보안으로 수비되던 사이버 스페이스. 그러나 사람들의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서, 그곳에서 일어나는 범죄도 증가했다. 그 중엔 특수한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뇌세계에 큰 피해를 일으키는 해커들도 있다.
그 바이러스 프로그램은 AI를 보유하여, 모든 정보를 흡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진화를 이루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해커들은 그 특수한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디지털 몬스터」라 불렀다.
본작의 디지몬 설정은 디지몽의 초기 설정을 오랜만에 재활용했다. 세계관은 애니메이션 시리즈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주인공을 전뇌탐정으로 설정한 건 파워 디지몬의 방과 후 사건 해결 이미지를 참고했다. 또한, 이 작품에서 디지몬이 일으키는 사건에 일본의 유명한 도시전설이 다수 섞여들어가 있는데, 그 이유는 디지몬 어드벤처와 파워 디지몬의 시리즈 디렉터를 맡은 카쿠도 히로유키의 디지몬에 대한 견해의 영향 때문.[6]
전작들과는 달리 현실 세계와 그 안에 존재하는 전뇌공간이 주요 무대라 전작들의 주요 무대였던 디지털 월드의 비중은 줄어든 편.[7] 디지털 월드가 아닌 현실세계가 주요 무대다 보니 현실에서 디지몬들의 개입으로 인해 어떤 영향이 일어나는지 볼 수있다. 마음에 드는 남자의 휴대폰에 잡입해 무한셀카투척을 날리는 릴리몬이라던가
여담으로 썸머워즈와 유사한 점이 있다. 특히 사이버 가상세계 디자인 부분은 썸머워즈의 OZ 디자인과 나름 비슷하다. 사실 애초에 썸머워즈도 같은 감독이 전에 만든 디지몬 우리들의 워 게임의 리메이크 작이긴 하지만.
2.1. 시스템
- 스캔 시스템
- 커넥트 점프
- 해킹
- 콤보 공격
- 디지 팜
- 디지 랩
- 의뢰
- 키워드 시스템
- 디지라인
2.2.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등장 디지몬
자세한 내용은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등장 디지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기본 설정
자세한 내용은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평가
2015 |
디지몬 스토리 사이버 슬루스 |
수상 GOTY 갯수: 1개 |
발매 후, 빠른 속도로 물량이 나가 일주일도 안 돼서 일본 아마존과 요도바시 카메라 전 매장에서 품절되는 등 초판 물량이 동이 났다. 현 세대기의 성능을 살린 각 디지몬과 그들의 전용기를 모두 구현했고, 대상 연령층을 평소보다 한 단계 높인 스토리와 전뇌 탐정이라는 점을 잘 살린 스토리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좋은 판매 성적을 기록 중, 이전에 발매된 디지몬 월드 리디지타이즈 이상의 호조를 보이고 있다. 다만 아쉽게도 대한민국에서는 한글화는 커녕 정식발매조차 되지 않아 일본판을 구입하거나 일본 PSN을 사용해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으로 즐겨야 했었다.
그러나 후속작인 해커스 메모리의 한국어판 발매가 확정됨으로서 비공식적으로 사이버 슬루스 전편도 한국어판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는 해커스 메모리에 사이버 슬루스까지 전부 포함되어 있었기에 될 수 있었던 특이 케이스이다. 본래 PS Vita로 발매되었던 작품이지만 해커스 메모리가 PS4 독점 발매를 하기 때문에 이번 작품도 PS4 독점 한국어 지원이 되었다.
업계 관계자 1000명이 뽑은 2015년 최고의 엔터테인먼트에서 게임 부문 랭킹 1위에 등극했다.
4. 여담
이례적인 면이 몇몇 존재하는데, 초반에 주인공이 택할 수 있는 디지몬들은 모두 신 디지몬이 아닌 기존 디지몬인데다가 하나같이 메인 주인공을 맡아 본 적이 없는 디지몬들 뿐이다. 특히 톱니몬의 경우 본 작품에서 스타팅 디지몬으로 선택되기 전까지는 죄다 잡몹 취급이었기에 나름대로 이슈거리가 되기도 했다.
초회 봉입 특전으로 프로덕트 코드를 증정했는데, 코드 하나로 총 5가지 특전을 얻을 수 있다. 오메가몬 즈왈트로 진화할 수 있는 아구몬(흑)과 파피몬(흑)을 얻을 수 있는 프로덕트 코드[8], 주인공인 아미와 타쿠미의 코스튬을 입은 아구몬 2마리[9], PS Vita 전용 테마, DLC 무료 추가 미션 선행 다운로드 코드까지 해서 PS 비타 내에 다운 받을 수 있는 DLC와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OST[10]로 구성됐다.
참고로 이 게임, Game of the Year 관련해서 공정성 시비가 본격적으로 불붙게 된 계기를 만든 작품이기도 한데, 메타스코어 점수가 아직 집계되지도 않은 시기에 GoBoiano라는 듣보잡 쇼핑몰에서 자체 선정한 내용이 뜬금없이 GOTY PICKS에 등재되었기 때문. 아무리 디지몬 관련 게임 역사상 가장 많은 호평을 받은 게임이라고는 해도, 기존의 GOTY 집계 목적과 전혀 상관 없는 데서 선정한 것마저 체크한 것이 일반적인 게이머들에게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질 리가 없었기에 많은 논란이 일어났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할 것.
V점프 2015년 4월호에 단편 코믹스가 수록되었다. 작화는 후쿠다 이쿠미.
- [1] 한국은 단일 타이틀로 유통된 적이 한 번도 없기 때문에 수록하지 않음. 실제 유통은 실 타이틀이라든지 DL로 발매되어야 하는데 이 작품은 그런 적이 한 번도 없었다.
- [2] 단일 타이틀로 발매된 적은 없으나, 해커스 메모리에 합본판으로 수록되면서 한글 자막 지원을 하게 되었으므로 해커스 메모리 발매일에 따른다. 비슷한 케이스로 원작은 영문판으로 발매되었었으나 후속작과 합본 리마스터로 발매되면서 한글화를 지원하게 된 파이널 판타지 10이 있다. 다만 로고나 기타 등등은 현지화되지 못한 것이 살짝 아쉬운 부분.
- [3] 해커스 메모리 합본판 기준이므로, 한국에서는 PS4 독점 지원이 된다.
- [4] 디지몬 스토리 시리즈의 역사도 8년 이상이 넘어 당시에 플레이하던 초등학생 유저들도 어른이 되었다고 한다. 디지몽 뿐 아니라 예전 디지몬 스토리 유저들도 타겟.
- [5] 인신매매 스토리의 경우 그녀는 온 세상에 있습니다를 응용한 호러 시나리오다. 초창기 디지몽 설정에 따라 도시전설 위주의 사이드 퀘스트를 다수 추가하다 보니 수위가 높은 것들이 꽤 존재하는 편.
- [6] "컴퓨터가 발달하기 전부터 존재한 영적 존재가 컴퓨터에 개입한 것을 인간이 디지몬 프로그램으로 인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견해를 처음부터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파워 디지몬의 한국 미방영 에피소드인 수학여행 에피소드에서는, 교토가 디지털 월드와 가깝다는 언급이 나온다.
- [7] 디지털 월드는 회상씬을 통해 간간히 등장하지만 주인공 일행이 디지털 월드에 가는 건 최종 챕터에 가서다.
- [8] 프로덕트 코드를 적용시키면 해당 진화 루트가 열리기 때문에 진화루트를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 [9] 일반 아구몬과 기술 배치가 다르다. 그리고 진화시키면 다시는 원래의 코스튬 버전 아구몬으로 돌아갈 수 없다.
- [10] 모든 OST가 수록된 게 아니라 일부만 수록. 정식 OST는 2015년 5월 29일 발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