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 이동란 | ||||
← | 4월 1일 | → |
{{{#!wiki style="color: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
(29) | ||||||||||||||||||||||
현재 시각은 KST 2019-12-07 18:11:13입니다. | ||||||||||||||||||||||
적색으로 표기된 날짜는 대한민국 법률로 지정된 공휴일입니다. | ||||||||||||||||||||||
}}}}}}}}} ||
1. 개요
1년의 91번째(윤년의 경우 92번째) 날에 해당한다.
2. 사건
2.1. 실제
- 1914년 - 부군면 통폐합이 단행되었다.
- 1920년 - 동아일보가 창간되었다.
- 1931년 - 제2차 초공작전이 발동되었다.
- 1932년 - 일제의 문부성이 일제본토와 식민지에 야구통제령을 발표했다.
- 1968년
- 1972년 - 수려선이 폐선되었다.
- 1976년 - 애플이 창립되었다.
- 1987년 - 일본 국철이 민영화되어 JR그룹 7개 회사로 분할되었다.
- 1997년
- TV도쿄에서 게임 원작 기반 영상물의 교과서인 포켓몬스터가 첫 방영되었다.
- KBS에서 달의 요정 세일러 문이 한국에서 첫 방영되었다.
- 014XY 야간/할인시간정액제가 실시되었다.
- 1999년
- 2000년 - 코나미의 공식 쇼핑몰 '코나미 스타일' 오픈.
- 2003년
- 2004년
- 2006년 - 신한은행(1982년)과 조흥은행이 합병되어 통합신한은행이 출범했다.
- 2011년
- 2014년 - KONAMI의 아케이드 리듬게임 jubeat saucer fulfill이 한국에 발매되었다. 일부 게임장은 3월 31일부터 가동 시작.
- 2015년 - 홍콩정부의 산하 자문기관이 2015년 11월에 만료될 aTV의 지상파 방송 면허 재승인을 전면 거부했다. 이로써 aTV는 2016년의 이 날에 1957년 5월 29일부터 이어온 약 59년간의 역사를 마무리했다.
- 2016년
-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간의 전쟁이 발발했다.
- 러브 라이브! School idol project μ’s FINAL LOVE LIVE! ~μ’sic forever~ 2번째 날이다.
러브라이버들의 울음 소리가 여기까지 들린다
- 2018년
- 2019년
- 그외에 거짓말처럼 믿기 힘들었던 사실은 만우절/예시 문서 참조.
2.2. 가상
- 우주력 6998년 - 저스티 우에키 테일러가 이등병에서 소령으로 급속 승진, 구축함 소요카제의 함장으로 임명되었다.
3. 기념일 및 절기
- 만우절
- 수산인의 날 - 1969년 4월 1일 제정된 뒤 1973년 권농의 날과 통합됐다. 1996년 농어업인의 날(11월 11일)로 바뀌었고, 이듬해 바다의 날(5월 31일)에 어업인이 참여하는 형태로 또 변경되었다. 2011년 공포된 수산업법에 관련 규정이 추가되어 39년만에 어업인의 날이 부활되었다. 2015년 6월에는 수산업·어촌 발전 기본법을 제정하며 '수산인의 날'로 명칭을 변경했다.
만우절과 엮어서 생각하면 뭔가 묘하다. - 일본에서는 이 날부터 따뜻한 달이라고 하여 '(이불에서) 솜을 뺀다'는 의미인 와타누키라고 한다.[3] 와타누키 키미히로의 작명 모티브는 바로 이것. 일본 기업들의 회계년도가 바뀌는 날도 이 날이다. 이 때문에 일본 기업들은 큼직큼직한 일들을 만우절에 발표하게 되어 사람들을 헷갈리게 한다. 그리고 일본과 북한은 이 날부터 새 학기가 시작되며, 이 때문에 빠른 생일 기준이 3월 31일까지다.[4] 학기 뿐만 아니라, 결산일 등 일본의 모든 업무는 여기에 맞춰져있다. xxxx학년도, xxxx결산년도 등이 전부 4월 1일 시작인 것.
- KD운송그룹의 모든 계열사 창립기념일도 이 날로 통일설정되었다.
- 향토예비군의 날 - 1968년 이 날 향토예비군이 창설된 후 지정되었다.
4. 축일
5. 생일
5.1. 실존 인물
- 1578년 - 윌리엄 하비(~1657년): 영국의 의사 겸 생리학자
- 1697년 - 아베 프레보(~1763년): 부르봉 왕조의 소설가
- 1753년 - 죠셉-마리 드 메스뜨르(~1821년): Joseph-Marie de Maistre, 부르봉 왕조의 교황주의자
- 1776년 - 소피 제르맹(~1831년): 프랑스의 여류 수학자
- 1815년 - 오토 폰 비스마르크(~1898년): 독일 제국의 재상
- 1873년 -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1943년):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 1922년 - 이동찬(~2014년): 한국 코오롱그룹의 제2대 회장이자 명예회장
- 1927년 - 페렌츠 푸스카스(~2006년): 헝가리의 축구인
- 1937년 - 조철현 비오 신부(~2016년): 천주교 광주대교구 종교. 5.18 민주화운동 참가자.
- 1952년
- 1954년 - 이창동: 대한민국의 소설가, 영화 감독
- 1956년 - 황상근 : 대한민국의 기업인
- 1959년 - 유창조 : 대한민국의 대학교수
- 1961년 - 쿠지라(성우): 일본의 성우
- 1964년 - 박종철(~1987년):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
- 1974년
- 1976년
- 1977년 - 비토 벨포트: 브라질의 종합격투기 선수
- 1980년
- 1981년 - 박예진: 대한민국의 배우
- 1982년 - 박정배: 대한민국의 야구선수
- 1988년 - 정해인: 대한민국의 배우
- 1989년 - 이승행: 대한민국의 성우
- 1991년 - 크리스티안 갈라노: 이탈리아의 축구선수
- 1992년 - 유지안: 한국의 아이돌 그룹 인투잇의 멤버
- 1993년
- 1995년 - 이동녕: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1997년
- 1999년 - 지원: 한국의 아이돌 그룹 굿데이의 멤버
- 2000년 - 이와하나 시노: 일본의 아이돌 HKT48의 멤버
5.2. 가상 인물
- 강백호 - 슬램덩크(만화)
- 굿맨 - 네오지오 배틀 컬리시엄
- 근육 스구루 - 근육맨
- 나츠키 스바루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 달비라 - 영원한 7일의 도시
- 루퍼스 바르마 - 판도라 하츠
- 모나카 - 절대절망소녀 단간론파 Another Episode
- 묘진 켄고 - 보이 프렌드(베타)
- 바트 심슨 - 심슨 가족
- 블리드 카가 -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
- 사쿠라(츠바사 크로니클), 샤오랑[5] - 츠바사 크로니클
- 사쿠마 유미네 - 슈프림 캔디
- 시바사키 켄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
- 아라크네 - 블레이블루
- 아릿사 시어즈 - 마이히메
- 아스카 - 드림 클럽 ZERO
- 아야나 - 프레젠트 프리티
- 아야사키 나노카 - 晴のちきっと菜の花びより
- 아짱 선배 - 리틀 버스터즈!
- 야마다 하나타로, 쿠나 마시로 - 블리치
- 엉클 그랜파 - 엉클 그랜파
- 에스퍼 로바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오오조라 아카리 - 아이카츠!
- 올리비에 렌하임 - 영웅전설6
- 와타누키 키미히로 - XXX HOLiC[6]
- 요로이 미코토 - 마브러브
- 요츠바 타마키 - 아이돌리쉬 세븐
- 우솝 - 원피스
- 우어 - 뿌까
- 운명의 다섯 왕자 - 근육맨
- 울자 - 반지의 비밀일기
- 유리에 시그투나 - 앱솔루트 듀오
- 유메노 겐타로 - 히프노시스 마이크
- 이리데 아카츠키 - 나카노히토 게놈 [실황중]
- 쭈니 - 스쿨홀릭
- 츠가미 쇼이치 - 가면라이더 아기토
- 츠네모리 아카네 - PSYCHO-PASS
- 카라쿠리 챠챠마루 - 마법선생 네기마
- 카미사카 하루히 - 하피네스
- 카사네 테토 - UTAU
- 카토 오토메 - School Days
- 캡틴 쿼크 - 라쳇 & 클랭크 시리즈
- 코가 코하루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 쿠르츠 웨버 - 풀 메탈 패닉!
- 키노모토 사쿠라 - 카드캡터 사쿠라
- 킨조 시라스 - 흐린 하늘에 웃다
- 킹 - 일곱 개의 대죄
- 타케치 오토야 - 악마의 리들
- 탐탐 - 사무라이 스피리츠 시리즈
- 토야마 킨타로 - 테니스의 왕자
- 프레드 위즐리, 조지 위즐리 - 해리 포터 시리즈
- 하규 히비키 - 언해피♪
- 하루미 사와라 - Tokyo 7th 시스터즈
- 한수영 - 전지적 독자 시점
- 후쿠자와 유키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 [7]
- 히노에 - 머나먼 시공 속에서 3
- 히라가 츠바사 - 선배와 나
- ZEN - 수상한 메신저
6. 기일
6.1. 실존 인물
- 1607년 - 마쓰다이라 타다요시(1580년~): 일본의 무장
- 1917년 - 스콧 조플린(1867년 혹은 1868년~): 미국의 래그타임 작곡가
- 1947년 - 요르요스 2세 그리스 국왕
- 1968년 - 노덕술
- 1984년 - 마빈 게이
- 1990년 - 카를로스 페우셀레(1908년~):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
- 2002년 - 시모 해위해(1905년~): 핀란드의 군인, 전설적인 저격수
- 2003년 - 장국영(1956년~): 홍콩의 배우, 가수
- 2013년
- 2015년
6.2. 가상 인물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해당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용 누설을 원하지 않으면 이 문서의 열람을 중단해 주십시오.
- [1] KTX 개통으로 인한 통일호 폐지.
- [2] 조용필, 이선희, 최진희, 윤도현, 백지영, 알리, 정인, 소녀시대의 서현, 레드벨벳, 강산에, 피아니스트 김광민.
- [3] 한자 표기는 四月一日・四月朔日
- [4] 단, 4월 1일이 토요일이면 3일에, 일요일이면 2일에 시작된다.
- [5] 모티브가 되는 리 샤오랑은 7월 13일생이다.
- [6] 생일이 4월 1일인데 성씨도 '四月一日'이다.
- [7] 이 생일 덕분에 연년생인 누나, 즉 후쿠자와 유미 와 같은 학년이다. 우리나라 식으로 하자면 빠른XX. 정확히는 날짜 속이고 온 빠른 XX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