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미디어에 대하여 나무위키에 글을 신설/보충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기존 방송인 라디오및 텔레비전 방송은 "방송 관련 문서의 질적 성장을 위한다"는 기존 나무위키 방송 프로젝트의 의도와 같으며, 뉴 미디어에 속하는 웹 TV 및 카드뉴스, 인터넷 방송(개인방송)은 물론, 첨단 기술로 제작되는 드론및 VR, AR(증강현실)을 활용한 방송과 2K(QHD)급 방송[1]도 서술해 나가는 통합 미디어 프로젝트입니다. 많은 방덕후 여러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참조 : 인터넷 방송 문서 개설 기준은 토론을 통해 정해주시기 바랍니다.
2. 참가자 서명
꼭 서명을 하지 않으셔도 자유롭게 참여 가능합니다. 참가자의 아이디나 아이피를 적어 주십시오.
- 舊 방송프로젝트 참가자
- NOC
- sjk09381
- wjdtkd9977
- mirae562
- fbwprjs
- KANO
- ingbulno
- chorong9194
- gzle
- halopahk
- news55
- nseEMaoc
- navergay
- iPhone_A80
- BlAsT980
- hennyyang
- grvk
- cyj0811
- dkdhsork
3. 프로젝트 홍보
이 틀을 이용해 프로젝트를 홍보해주세요. 틀을 사용하는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html <div style="margin-left:50px;"><b style="font-size:14px">
이 문서는 <a href="/w/나무위키 통합 미디어 프로젝트">나무위키 통합 미디어 프로젝트</a>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b><br />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div>}}}
4. 작성이 필요한 문서
작성이 된 문서는 본문 하단 프로젝트 성과에 기재 후 삭제해주세요.
SBS 국민의 선택 문서에 도움될 유튜브 링크가 있어서 남깁니다. https://youtu.be/olbuQMxH_Ls
4.1. TV 방송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프로젝트/방송 문서의 r117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4.1.1. 국내
- 국제아파트 - TV 조선의 예능
- 나는 죽음의 얼굴을 보았다
- 매치 오브 더 데이
- 물은 생명이다
- 아나테이너, 셰프테이너
- 모란봉클럽 - TV 조선의 예능
- 이광용 - KBS 아나운서.
- 내친구와 식샤를 합시다 - 전작과는 달리 드라마가 아닌 리얼 버라이어티다.
- SBS 파워FM, SBS 러브FM의 대부분 방송
- 서태화 - 배우. 그가 진행한 프로그램인 서태화의 누들샵 항목만 존재함.
- 경이로운 지구 - NHK 다큐인데 원래이름은 '지구대진화 46억년'
- 만원의 행복
- 생로병사의 비밀
- 생명 그 영원한 신비 - NHK, KBS 공동제작 다큐멘터리. 원제 "생명 40억년의 여정" 대략적인 내용은 아노말로카리스 문서 하단에 주석으로 기 첨부되어 잇으니 작성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솔로몬의 선택
- 오! 마이 베이비 - SBS 토요 육아 예능 프로
- 우행쇼 - 2013년 개콘에서 방영된 코너. 어원은 우리나라 행복하십쇼.
- 유세윤의 Art Video - 2012년에 Mnet에서 방영한 12부작 프로그램.
- 유쾌한 스튜디오 - 1980년대 MBC의 대표 예능 프로그램중 하나.
간판지위는 일밤에게 밀렸지만 - 제보자들 - KBS2의 솔루션 프로그램
- 지미집
- 코드제로
- 프로젝트 런웨이 - 패션 디자이너들이 나오는 미국의 서바이벌 형식의 리얼리티 쇼. 국내판으로 프로젝트 런웨이 코리아가 있다.
- 환경스페셜 - 1999년부터 2013년까지 KBS1에서 방영
- Deadliest Warrior - 스파이크 TV에서 방영한 VS놀이 다큐멘터리
- DOGTV - 개를 키우는 사람과 개를 위한 TV 채널
- KBS 스페셜 - 1994년부터 2013년까지 방영. 2004년까지는 'KBS 일요스페셜'이라고 불렸음. 2016년 2월부로 KBS 파노라마-KBS 다큐1의 후신으로 부활함.
- KIDS TV - 법인명은 한국어린이방송.
- 접속! 애니월드 - 전신은 SBS 애니 갤러리로 프로그램 이름 및 편성시간을 변경하고 포맷도 바꾸었다. 이 프로그램은 1부와 2부로 나뉘어서 방송되고 있는데 1부는 애니메이션과 웹툰과 관련한 이야기를 전하고 2부는 전신인 애니 갤러리와 같은 포맷으로 방송한다.
- 넘버스 - EBS 다큐프라임에서 방영중인 '세상을 바꾼 다섯개의 수'라는 주제로 제작된 수학 관련 다큐멘터리
- 현장르포 동행 - KBS1에서 방송하는, 흙수저의 일상을 담담히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 가족의 품격 풀하우스 - KBS2에서 2013~4년까지 방영했던 프로그램.
- 온주일가인 - 2012년에 제작한 중국 드라마. 한국 방영명은 온주일가.
- 진격(드라마)
- 네프리그
- GTV
- 동아TV
- 방송대학TV
- 슈퍼선데이
- 환경스페셜
- 현장토크쇼 택시 - tvn 예능입니다.
- 21세기 위원회 - 90년대 말부터 방영되기 시작한 인포테인먼트 예능으로 김국진과 김용만 진행. 그러다 김국진의 몰락기에 김용만과 다른 여 MC가 진행. 여기서 칭찬합시다가 파생됨.
- MBC 시선집중 - MBC 라디오의 아침 시사 프로그램. 인지도가 매우 높은(?) 프로그램이지만 아직까지도 문서가 생성되지 않은 상태라서 올립니다.
- 변창립 - 現 MBC 부사장.
- MBC 무브먼트 - JTBC 브랜드 디자인처럼 프로그램 장르별로 다양한 디자인이 사용됨.
4.1.2. 해외
- 긴급경보방송 - 일본에서 1970년대부터 도입된 방송시스템이며, 보통 쓰나미 경보가 발령될 때 자동적으로 거의 모든 TV와 라디오의 스위치가 켜짐. 긴급지진속보의 쓰나미 버전.
- BBC의 지역 방송국 및 메이저급 자회사
- CANAL+ - 프랑스의 유명 위성방송채널.
- NHK 스페셜 - KBS 스페셜의 원조격인 NHK의 주간특집 다큐멘터리 타임. 국내에 알려진 대부분의 NHK 다큐는 이 창구를 통해서 방송되는 경우가 많다.
- Storage Wars - 창고 경매를 통해 이윤을 내는 것으로 대결하는 히스토리 채널의 리얼리티 쇼.
- The Nanny -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방송된 미국의 시트콤. 우리나라 케이블 채널에서 '못말리는 유모'라는 이름으로 방영되었다.
- Arrested Development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방영되고, 2013년 한 시즌 더 방송된 미국 시트콤. '못말리는 패밀리' 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 People's Century - 영국 BBC와 미국 WBGH가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제작한 26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 국내에서는 KBS에서 이 시리즈의 'International versions'을 "TV로 보는 20세기 희망과 절망"이라는 제목으로 1996년부터 1997년까지 방영했으며, 1999년 말까지 간간히 재방영했다.
- TV 니시닛폰 - 후쿠오카 현의 후지TV 가맹 지역민방. 생성 필요.
- 선 텔레비전 - 마스코트 보충 서술이 필요함.
- 도카이 TV 방송 - 세슘씨 사건 내용 보충 필요함.
* 뉴스 시부 5시 - NHK의 4시대 · 5시대 저녁 뉴스. 4시 대에는 '4시도! 시부 5시'라는 이름으로 방송된다.
4.2. 뉴 미디어
- 뉴 미디어
- 웹 TV 및 웹 드라마, 웹 예능등 하위 문서
- 72초 TV - 네이버TV를 통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으로 한 회당 5분을 거의 넘기지 않음.
- 스낵 - 조선일보에서 만든 카드뉴스
- 에브리샷 - SM가수들이
- 카카오tv - 카카오가 만든 전문 영상 플랫폼
- 스브스뉴스 - SBS에서 만든 카드뉴스/영상/참여형 뉴스 등 뉴미디어 제공 서비스 브랜드
- 뉴스에이드
- 고봉순 - KBS에서 만든 카드뉴스 브랜드
- our history - 중앙일보에서 만든 카드뉴스 브랜드
웹티브이 1.0/2.0/2.1 구분 문서개설 필요 (1.0:유튜브, 다음 tv팟, 아프리카tv등 일상 영상과 tv방송 편집본 등/2.0:72초tv, 팝콘티비, 스낵등의 영상 서비스와 V앱, 에브리샷및 스브스뉴스등의 인터넷 중심 프로그램/2.1:2K(QHD)의 모바일 고해상도 프로그램, VR을 활용한 360° 방송 및 가상현실을 이용한 AR카드 방송)
4.3. 첨단 방송
4.4. 기타
- 교육부의 초등학교·중학교 미디어 교육 강화(교과 신설 이후 나무위키:프로젝트/교과·수능에서도 이 내용을 다룰 예정.) #, ##
- 방송자료
- 영상매체
- 2000~2001년 CBS 총파업 - 한국 방송 역사상 최장 기록을 달성한 파업 사태.
5. 도움이 필요한 문서
5.1. TV 방송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방송 프로젝트 문서의 r117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 TV조선 뉴스 10
- TV조선 NEWS
- KNN 뉴스아이
- G1 뉴스 820
- JTV 8 뉴스
- ubc 프라임뉴스
- JIBS 820 뉴스
- TJB 8 뉴스
- CJB 8 뉴스
- TBC 굿모닝뉴스
- ubc 뉴스 굿모닝울산
- JIBS 720 뉴스
- 우리동네 예체능 - 수영편이 특히 보완이 필요하다.
-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 - 시즌 20까지 나왔는데 갱신이 잘 되지 않고 있다.
- 나를 돌아봐 - 조영남, 김수미, 이경규, 최민수 등 한 성깔 하는 연예인들이 타인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는 예능. 벌써 굵직한 사건이 3개나 터졌다. 각 사건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추가해야 함.
- SBS 뉴스토리 - 구성, 방송내역에 대한 정보 보완이 필요함.
- 결방
- 편성표, /의견
- STN SPORTS
- Starz
- 직접사용채널(케이블 지역방송) - 채널 특성상 지역민들의 증언이 많이 필요합니다.
- 그녀들의 완벽한 하루 - 내용이 매우 부실함.
- JTBC 브랜드 디자인 - 내용이 부족함.
- 애니메이션 쿼터제 - 분명 다른 장르(영화, 드라마, 음악 등)의 채널에서도 광범위하게 쓰이는 표현인데 애니메이션에 관련된 내용들만 소개되어 있습니다.
- 재난방송 - 내용이 매우 부실함.
5.2. 뉴미디어
6. 프로젝트 성과
생성되었거나 보완된 문서는 날짜와 함께 아래에 적어주세요.
6.1. 방송 프로젝트 시작 후 생성된 문서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방송 프로젝트 문서의 r117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 뉴스쇼 판 / 스포츠 판
-
TV조선 주말뉴스 土/日- 2015년 9월 2주차에 뉴스쇼 판과 통합 - MBN 뉴스 8
- 김선영의 뉴스나이트
- 뉴스와이드
- JTBC3 FOX Sports
- Syfy - 2015/8/3
- 신문이야기 돌직구쇼 - 2015/9/30
- 행복주식회사 - 2016/02/29 (만원의 행복으로도 들어올 수 있음)
6.2. 방송 프로젝트 프로젝트 시작 후 보완된 문서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 방송 프로젝트 문서의 r117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6.3. 통합 미디어 프로젝트 시작 후 생성된 문서
- 틀:대한민국의 주요 방송사별 메인뉴스 브랜드
- MBN플러스
- video mug
- SBS Plus UHD
- 분류:영상물 등급 제도
- 분류:방송 그래픽
- 틀:애니맥스
- 틀:애니플러스
- 틀:투니버스
- 긴급경보방송 - 2017/11/26
- 재난방송 - 2017/11/30
- 틀:케이블 방송에 대한 비판 - 2017/12/17
- 김병만의 정글의 법칙의 각 시즌별 항목
- 김일중
- 티캐스트, 현대미디어와 지역 직접사용채널 채널들
- 영재 발굴단
- 조우종
- 잘 살아보세
- 풍문으로 들었쇼
6.4. 통합 미디어 프로젝트 시작 후 보완된 문서
- 팝콘TV
- 멀티미디어
- 미디어 믹스
- 시리즈 통합 작품
- 영상물 등급 제도
- 틀:영상물 등급 제도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
- 크로스오버(서브컬처)
-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국내 중계 - 그 동안 월드컵 시청해주시고 해당 문서에 기여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7. 하위 프로젝트
- 분류:만화 / 애니메이션 / TV 시리즈 프로젝트
- 분류:게임 프로젝트
- 나무위키:프로젝트/라이트 노벨
- 나무위키:프로젝트/만화
- 나무위키:프로젝트/방송
- 나무위키:프로젝트/성우
- 나무위키:프로젝트/모바일 방송
- 나무위키:프로젝트/모바일 방송인
- 나무위키:프로젝트/인터넷 방송인
- 나무위키:프로젝트/시네마틱 유니버스
- 나무위키:프로젝트/애니메이션
- 나무위키:프로젝트/영화
- 나무위키:프로젝트/특촬물
- 나무위키:프로젝트/일상물[2]
- [1] 뉴미디어가 보급화된 기기 기준이므로 최신 스마트폰의 화질인 현재는 2K로 정합니다. 추후 4K등이 보급화 되면 수정하여 주십시오.
- [2] 이 프로젝트는 라이트 노벨,만화,애니메이션 프로젝트의 하위 프로젝트도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