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 302 ‡ | 303 ‡ | 333 ‡ | 341 ‡ | |||||||||||
343 ‡ | 360 † | 362 ‡ | 370 †‡§ | ||||||||||||
}}}}}} | |||||||||||||||
{{{#!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 ||
구형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현재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로 대차되어 4419번에서 운행 중이다. | 면목2동 경유로 바뀐 이후. 462번 출신 차량으로 위 차량은 아래와 같은 차량으로 대차되었다. | |
2015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저상. | 2017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 |
2018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 | }}} |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20번 | |||||
기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장지동(송파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구청) | ||
종점행 | 첫차 | 04:00 | 기점행 | 첫차 | 05:08 |
막차 | 23:00 | 막차 | 00:20 | ||
평일배차 | 7~9분 | 주말배차 | 토요일 8~10분/공휴일 9~11분 | ||
운수사명 | 인가대수 | 24대(예비 1대)[1] | |||
노선 | 송파공영차고지 - 복정역 - 장지역.가든파이브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호수.한솔병원 - 잠실역 - 잠실대교전망쉼터 - 광진구청 - 아차산역.어린이대공원후문 - 신성시장 - 대원고 - 용마산역 - 용마한신아파트 - 중화중 - 동원시장 - 혜원여중고후문 → 면목6거리 → 상봉2동주민센터 → 면목2동주민센터 → 면목5동(겸재교)입구 → 면목2동한신아파트 → 서울우유 → 중랑역.동부시장 → 상봉역.중랑우체국 → 신내쌍용아파트 → 중랑구청 → 성원아파트.경남아너스빌 → 망우지구대 → 상봉터미널 → 혜원여중고후문 → 이후 역순 |
2. 개요
남성교통에서 운행 중인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9.5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송파공영차고지에 입주하기 전에는 운행 후 성남 양지동 차고지로 공차회송을 했었다. 개통하고 2주만에 송파공영차고지에 입주하게 되어 공차회송은 없어졌다.
- 2010년 4월 29일에 회차구간이 상봉터미널에서 중랑구청으로 연장되었다.
- 민원이 발생하면서 중랑구청으로 갈 때 면목육거리에서 상봉역으로 가지 않고 서울우유까지 돌아서 가도록 변경하는 안건에 대해 2016년 6월 14일부터 30일까지 의견조회를 받았다. 관련 공문
- 2017년 2월 25일에 '면목육거리 → 상봉역' 구간이 '면목육거리 → 금성시장 → 면목2동주민센터 → 면목5동(겸재교) → 면목2동한신아파트 → 서울우유 → 중랑역.동부시장[2] → 상봉역'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관련 게시물 안건과 달리 면목한신아파트 주민들의 민원을 반영하여 면목육거리에서 바로 상봉파출소와 서울우유로 가지 않고 면목2동과 한신아파트로 돌아서 가게 되었다. 그리고 동시에 462번에서 2대를 가지고 왔다. 관련 공문 기존 '상봉역(면목6거리) - 상봉터미널' 구간은 2230번을, '중랑구청사거리 - 중화중' 구간은 2012번을 이용하면 된다(두 노선 전부 왕복이며 특히 2230은 320번의 편도 구간을 충분히 대체하는 성격이기 때문).[3]
- 2018년 3월 16일 462번 단축에 따른 감차분 4대중 2대가 이 노선으로 이동했다.
4. 특징
- 일반버스 5대, 저상버스 19대를 투입하여 운행한다.
- 이 노선이 생긴 것은 2311번의 대체 성격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광진구와 중랑구 깊숙이 들어가는 70번(남한산성입구 - 중랑공영차고지)을 견제하기 위한 카더라가 있는 듯하다. 실제로 70번은 오랫동안 중곡동/망우동 일대와 천호/잠실 일대를 이어주는 사실상의 독점 노선이었기 때문인데[4] 잠실 방면으로 빠르게 이어주는 이 노선이 개통되면서 잠실쪽 수요 대부분을 빼왔다. 아차산역 기준으로 광나루역과 천호역, 올림픽공원 등을 경유하여 돌아서 오는 70번보다 광진경찰서, 광진구청을 경유하여 잠실대교로 직접 넘어오는 이 노선이 훨씬 빠르다. 70번이 중형차량으로 바뀌게 된 결정적인 원인을 이 노선으로 꼽기도 한다. 잠실역 접근성 역시 이 노선이 한수 위에 있다.
- 신성시장 - 광진구청 구간에서는 광진04번보다도 잘 오지 않는 데다가, 요금도 마을버스보다 비싸기 때문에 인근 주민들에게는 외면받는 경우가 잦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수요는 마을버스와 경합이 없는 중랑구 지역과 잠실역 이남을 오가는 승객들.[5]
- 여담으로 지선버스 도색을 한 차량을 운행한 적이 있었다. 4423번이 폐선으로 증차를 위해 이동.[6]
4.1. 일평균 승차인원
320번을 이용하는 일일 승객 수며 하차인원은 포함하지 않는다.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20번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12,336명 | 12,547명 | 12,838명 | 13,687명 |
- 출처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이며 2015년 이후의 자료만 제공하고 있다.
- 2018년에 승객수가 크게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면목동 구간을 더 꼬아놓으면서 구간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
-
서울 지하철 5호선: 아차산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중곡역[7], 용마산역, 상봉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복정역,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랑역, 상봉역, 망우역[8]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중랑역, 상봉역, 망우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복정역
- 일반 철도역: 상봉역(KTX, ITX-청춘[9])
- [1] 토요일 21대, 공휴일 20대 운행
- [2] 인가상으로 기재했으나 실제론 무정차. 그러나 동년 11월 17일로 정차하게 된다.
- [3] 특히 세 노선이 양방향으로 만나는 중화중학교 정류장에서의 상호 환승으로 대체 가능.
- [4] 특히 중곡역 인근 구간이 대표적인 독점 구간이다. 참고로 2227번, 4212번은 회차지점이다.
- [5] 하지만 구의2동주민센터~복정역 구간에서는 302번(광진경찰서 부터 겹침), 303번, 9403번이 사람이 많을때 커버를 해줄 수 있긴 하다. 실제로 303번 못타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
이때는 앞문 못 닫을 정도로 많다. 그리고 더 밟는다 - [6] 후면부에 천연가스버스 폰트를 제거한 걸로 보아 간선도색 재도색 직전에 촬영된 것으로 추측된다. 2010년 말에 지선도색으로 재도색하여 4419번으로 이동했다가 2017년 5월에 저상버스로 대차되어 다시 이 노선으로 돌아와서 운행중이다.
- [7] 용암사입구 하차
- [8] 망우지구대 하차.
- [9] 평일6회